심플코더
간단한 코딩 공간
   

글쓰기    관리    수식입력
  • 분류 전체보기 (84)
    • AWS (1)
    • JavaScript (11)
    • 개인학습 (5)
    • DB (11)
    • OS (9)
    • Network (7)
    • DevOps (0)
    • TypeScript (1)
    • 개발 (1)
    • CKA (28)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심플코더

간단한 코딩 공간

CKA

(TIL) Kubernetes의 imperative, declarative

Imperative vs Declarative

길을 찾는 예시를 통해 Imperative와 Declarative의 차이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다.

100m 앞으로 가서 오른쪽으로 꺾은 후 200m 직진하세요 

와 같이 설명하는 것을 imperative,

홈플러스로 가세요

와 같이 설명하는 것을 Declarative 방식이라고 한다.

즉 imperative은 무엇을 어떻게 할지를 지시하며 declarative는 무엇을 원하는지만 명시하는 방식이다.

인프라에서의 Imperative vs Declarative

인프라 관리에서도 동일한 개념이 적용된다.

웹 서버 VM을 생성하라
NGINX를 설치하라
설정 파일을 수정하라 (포트 8080으로)
Git에서 코드를 다운로드해라
NGINX를 실행해라
NGINX 웹서버가 포트 8080에사 동작한다.

위 예시를 통해 어떤것이 imperative이고 declarative인지 구분할 수 있다.

Kubernetes에서의 imperative와 delclarative

imperative

kubectl run
kubectl create
kubectl expose
kubectl edit
declarative

kubectl apply -f

'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Kubernetes Manual Scheduling  (0) 2025.03.23
(TIL) kubectl apply의 내부 동작  (0) 2025.03.23
(TIL) Kubernetes namespace  (0) 2025.03.22
(TIL) Kubernetes Service  (0) 2025.03.16
(TIL) Kubernetes Deployment  (0) 2025.03.16
    'C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Kubernetes Manual Scheduling
    • (TIL) kubectl apply의 내부 동작
    • (TIL) Kubernetes namespace
    • (TIL) Kubernetes Service
    심플코더
    심플코더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