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플코더
간단한 코딩 공간
   

글쓰기    관리    수식입력
  • 분류 전체보기 (84)
    • AWS (1)
    • JavaScript (11)
    • 개인학습 (5)
    • DB (11)
    • OS (9)
    • Network (7)
    • DevOps (0)
    • TypeScript (1)
    • 개발 (1)
    • CKA (28)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심플코더

간단한 코딩 공간

JavaScript

JavaScript의 코드스타일

코드 스타일이란 뭘까?

  • 코드 스타일이란 어떤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할 것인가에 대한 약속이다.

'국룰' 코드 스타일

  • 코드 스타일에는 흔히 말하는 '국룰' 방식이 존재한다. 이름을 지을 때, 들여쓰기를 할 때, 변수를 선언할 때, 함수를 선언할 때 모두 '국룰'이 존재한다.

Naming

  1. 약어는 모두 대문자로 작성하거나 모두 소문자로 작성한다
  2. 파일 이름은 소문자로 작성한다.
  3. 예약어를 변수 이름으로 사용하지 않는다(예약어란 int, return과 같이 이미 문법적 요소로 기능을 하는 용어들을 말한다)
  4. 변수 이름, 함수이름, 함수의 파라미터(매개변수), 객체의 이름, 패키지 이름은 CamelCase로 작성한다.
  5. 클래스 이름과 생성자 이름은 PascalCase로 작성한다.
  • CamelCase: 변수 이름에서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존재하는 경우, 맨 처음 단어를 제외하고 시작할 때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 PascalCase: CamelCase와 다르게 모든 단어의 시작을 대문자로 표기한다.
    • CamelCase 인 경우 : redApple
    • PascalCase인 경우 : RedApple

들여쓰기

  • 들여쓰기는 스페이스바로 두 칸 들여쓴다.
  • 개발 환경에 따라 탭 키는 들여쓰는 칸 수가 다르므로, 스페이스바로 하는 것이 모든 환경에서 안전하게 동작한다.

변수

  • JavaScript에서 변수는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한다.
  • const로 원하는 작동을 할 수 없는 경우만 예외적으로 let을 사용한다.

함수

  • 함수식은 가급적 Arrow Function을 사용한다.
  • Arrow function에서 함수 본문이 하나의 식으로 구성된 경우, 중괄호와 return문을 생략할 수 있다. 만약 중괄호가 생략되지 않았다면 return 문을 포함시켜야한다.

배열

  • 한 배열로부터 복수개의 값을 할당받을 때는 destructuring을 사용한다.
  • 배열을 복사할 때는 spread 연산자를 사용한다.
  • 새로운 값을 넣고 싶을 때는 push를 사용한다.

객체

  • Key는 큰 따옴표로 감싸준다.

연산

  • ==, !=보다는 ===, !==를 사용한다.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Fetch API  (0) 2023.09.07
MySQL 개념  (1) 2023.09.04
Express란?  (0) 2023.09.01
Firebase 사용 방법  (0) 2023.08.12
React 공부하기 - Redux란?  (0) 2023.08.11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MySQL 개념
    • Express란?
    • Firebase 사용 방법
    • React 공부하기 - Redux란?
    심플코더
    심플코더

    티스토리툴바